본문 바로가기

AWS

[AWS] AWS 시작하기 (1) - 인스턴스 만들기

최근에 율토리 마을을 관리해주던 클라우드 나라와 계약이 끝났다.

그래서 율토리는 AWS 나라로 마을을 옮기려고 한다.

( AWS 계정 생성 하는 방법은 가입하고, 결제방법도 넣고 뭐 등등 비슷하기에 설명을 생략하겠다. )

 

 

" 인스턴스 편 "

 

처음에 촌장은 인스턴스?? 그게 뭔데?? 하고 혼동이 왔다.

어렵게 생각하지 말자ㅎㅎ 그냥 서버컴퓨팅 이라 생각하면 된다...ㅎ  ( 왜 용어를 이런식으로 햇갈리게... 주절주절.. )

 

1.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, [ AWS 서비스 - EC2 ] 메뉴로 찾아가야한다.

 

EC2 메뉴 찾아가기

 

2. 그 다음, EC2 메뉴에서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서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자.

 

 

 

 

3. 단계 1: Amazon Machine Image(AMI) 선택 / 단계 2: 인스턴스 유형 선택

 

   여기서, 기존에 운영하고 있던 인스턴스가 있고 만들어둔 AMI가 있다면, [ 나의 AMI ] 를 선택하면 된다. 

 

   그러나, 

   율토리 마을은 이제 처음 AWS 나라에 마을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[ AWS Marketplace ]  을 선택하고 진행하겠다.

   율토리 마을은 Centos 7 / Apache / PHP / MariaDB 로 구성된 마을이기 때문에, Centos7 OS를 선택하고 진행하였다.

   

단계 1: Amazon Machine Image(AMI) 선택

 

 

      Tip. 율토리 마을은 개인 마을이기때문에, 굳이 고사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.

             따라서, 율토리 마을은 CentOS 7 프리티어 사용 가능 / t2.micro 유형 을 선택하여 운영비용을 축소했다.

             * t2.micro : 계정 생성 후 1년까지 월 최대 750시간까지 무료로 사용 가능.

 

 

4. 인스턴스 유형까지 선택하였으면 [ 다음: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 ] 버튼을 눌러서 다음으로 넘어간다.

   (검토 및 시작 버튼을 눌러도 된다.)

   단계 3: 인스턴스 세부 정보 구성
   단계 4: 스토리지 추가
   단계 5: 태그 추가
   단계 6: 보안 그룹 구성

   각자의 환경에 맞춰서 옵션값을 설정하면 된다.

   율토리에서는 모든 단계를 기본 상태 그대로 두고 Next 한 다음. 인스턴스를 시작하겠다.

 

    Tip.  6단계를 보면 SSH 포트가 default 로 셋팅되어 있다. 즉, 인스턴스를 생성/시작 후 쉘을 이용하여 SSH 접근이 가능하다.

          계정은 centos 로 접근이 가능하다.

 

 

 

5. 단계 7: 인스턴스 시작 검토

   

    마지막으로 선택한 내용들을 확인하는 순서이다. 문제가 없으면 [시작하기] 버튼을 누르자.

 

    이 때, " 기존 키 페어 선택 또는 새 키 페어 생성 " 팝업 창이 뜬다.

    이 키 페어로 SSH 를 접속할때, key 를 이용하여 접근을 할 수 있다. ( 주의! HTTPS 인증서 아님! )

  

기존 키 페어 선택 또는 새 키 페어 생성 팝업

 

 

 

여기까지 해주고 인스턴스 시작을 하면, EC2 에 인스턴스가 생성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.